반응형 전체 글397 ISA로 미래를 책임진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모든 것 정부가 절세형 투자상품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납입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대폭 높이고 가입대상도 확대하기로 하면서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소개 1.1 ISA 개념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는 2016년 3월 14일에 출시된 만능통장으로, 은행 및 증권사와 같은 금융회사에서 가입할 수 있는 다목적 계좌입니다. ISA는 정부가 시행한 제도로,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노후를 대비하여 자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ISA는 일임형, 신탁형, 중개형으로 구분되어 운용됩니다. 1.2 ISA 가입 대상 및 상품유형 ISA.. 2024. 1. 17. 국민 금융 혁신, 비과세 한도 상향,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조기 폐지 이번 글에서는 정부의 금융정책 방향에 대한 중요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1. ISA 납입 및 비과세 한도 대폭 확대 정부는 절세형 투자상품으로 알려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의 납입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대폭 높이기로 했습니다. ISA를 통한 국내 주식 및 펀드 투자에 대한 비과세 범위를 확대하며, 연 500만 원(서민형 1000만 원)으로 비과세 한도를 2.5배로 늘릴 예정입니다. 또한, 납입 한도도 연간 4000만 원(총 2억 원)으로 상향 조정되어 자산 형성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2. 금투세 폐지 및 금융투자소득세 개선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가 예정돼 있었지만, 정부는 이를 앞당겨 추진하며 투자자들에게 더 큰 혜택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배당 및 이자소득세를 ISA 세제 지원을 강화해 확.. 2024. 1. 17.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 '설 민생안정대책' "설 연휴 KTXㆍSRT 역귀성 최대 30% 할인..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건설업계와 택배업계 체불 제재, 근로여건 개선" 교통안전을 위한 대책 올해의 설 연휴 동안 교통 및 생활안정을 위해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특별 대책에 따르면, 2월 9일부터 12일까지 고속도로 톨게이트는 연장된 설 연휴 동안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무료 기간은 9일 자정부터 13일 자정까지 적용되며, 국토교통부는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20,000원 이상 소비한 이용자들에게 현장에서 로컬 관광지 할인 쿠폰과 각종 간식 패키지 할인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KTX 및 SRT(Suseo Rapid Transit)도 설 연휴 동안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귀향 시 최대 30%의 할인과 함께, KTX는 가족 4인에게 15% 할인된 좌석을.. 2024. 1. 16. 2023귀속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개시 국세청은 15일, 연말 세금 정산을 위한 소득과 세액 공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간소화 서비스는 올해 처음으로 제공되는 고향사랑 기부, 영화 티켓, 고용보험료, 대학 입시 시험료 등을 포함해서 총 41가지 종류의 자료를 제공합니다. 간소화 서비스에서 확인할 수 없는 의료비는 17일까지 신고 센터에 신고할 수 있으며, 추가 또는 수정된 자료가 제출된 경우 최종 데이터는 20일부터 확인 가능합니다. 자녀가 19세가 되면 부모가 요청한 간소화 데이터 제공이 종료되므로 계속해서 데이터 제공을 받으려면 자녀가 직접 동의해야 합니다. 동의하지 않을 경우 자녀의 교육비 등이 누락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세청은 부모와 자녀에게 데이터 제공이 종료되었.. 2024. 1. 15. 2024년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 모음 - 고용노동부 이번 글에서는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2024년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참조하셔서 혜택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고용노동부 2024년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 #1 ① 최저임금 시급 : 9,860원, 일급 : 78,880원, 월급 : 2,060,740원 ② 6+6 부모육아휴직제 부모 모두 육아휴직 시 첫 6개월간 부모 각각 최대 1,950만원 지원 ③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저소득 근로자·예술인·노무제공자 사회보험 가입 지원 ④ 중소기업 퇴직연금제도 - 사업주, 근로자에게 재정지원금 지원 - 월평균 보수 최저입금 130% 미만 근로자까지 지원 고용노동부 2024년 놓치지 말아야 할 정책 #2 ①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보험료 상시 근로자수 증가, 보험료율 인상 발생 3년간.. 2024. 1. 14. 이전 1 ··· 60 61 62 63 64 65 66 ··· 80 다음